문제수 N개가 주어졌을 때,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입력첫째 줄에 수의 개수 N과 합을 구해야 하는 횟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수가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합을 구해야 하는 구간 i와 j가 주어진다.출력총 M개의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 합을 출력한다.코드def get_prefix_sum(N, numbers): prefix_sum = [0] * (N + 1) for i in range(1, N + 1): prefix_sum[i] = prefix_sum[i-1] + numbers[i-1] return prefix_sumd..
분류 전체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072알고리즘이진탐색을 이용하는 문제이다. Z(승률)이 변하는 최소한의 게임 판수를 구하는데, 이때 승률이 변하지 않는 경우를 확인해주어야 한다.Z 계산시 버림한다고 하였으므로, 99퍼 이상은 아무리 계속 승리를 해도 변하지 않으므로 Threshold를 Z = 99로 잡고 코드를 구성하였다.게임 판수를 이진탐색의 right, 0판을 left로 잡고 이분탐색을 하면서 승률의 변동이 있는지 확인해준다. 승률이 변했다면 판수를 더 줄여서 확인해 보아야하므로 r = mid-1을 통해 다시 이진탐색을 해주고, 승률이 변하지 않았다면 판수를 더 늘려서 확인해 보아야하므로 l = mid+1을 통해 이진탐색을 계속한다.코드import sysinput = sys..
https://www.acmicpc.net/problem/17951입력첫 번째 줄에 시험지의 개수 N과 시험지를 나눌 그룹의 수 K가 정수로 주어진다. (1 ≤ K ≤ N ≤ 105)두 번째 줄에 각 시험지마다 맞은 문제의 개수 x가 정수로 주어진다 (0 ≤ x ≤ 20)출력현수가 받을 수 있는 최대 점수를 출력한다. 코드n, k = map(int, input().split())li = list(map(int, input().split()))left = min(li)right = sum(li)cnt = 0while left = mid: cnt += 1 result = 0 if cnt >= k: left = mid + 1 else: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39 Algorithm도시와 도시 사이에 연결된 다리로 옮길 수 있는 최대 중량값은 DFS로 구하면 될 것 같다.- 이진탐색을 통해 중량이 A에서 B로 이동할 수 있는지 탐색- 가능하면 중량을 더하고 다시 탐색- 가능하면 중량을 줄이고 다시 탐색- 탐색이 종료되면 최대 중량을 출력 Codeimport java.io.*;import java.util.ArrayList;import java.util.List;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ans; static List[] list; static boolean[] check; public static void..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6401 Algorithm Code#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int m, n, input; cin >> m >> n; vector snacks; for(int i=0; i> input; snacks.push_back(input); } sort(snacks.begin(), snacks.end()); int low = 1; int high = snacks[n-1]; int result = 0; while(low
2352번: 반도체 설계접근 방법연결선이 꼬이면 안되기 때문에,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순열 (LIS) 알고리즘을 사용하기로 결정이때 dp로 접근하게 되면 시간 복잡도가 O(n^2)이기에 시간 초과가 발생했다.여기에서는 시간 복잡도를 O(n log n)으로 줄이기 위해서 이분탐색을 이용하기로 결정한다.vector v(n) -> 연결되어야 하는 포트 번호들을 입력받는 배열vector dp -> 증가하는 부분 수열에 들어갈 수를 최적의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배열int pos -> 반복문을 거치는 현재 원소(v[i])가 dp에 들어갈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같은 숫자는 존재하지 않기에 binary_search 함수를 구현, dp에 들어갈 위치를 이분 탐색으로 결정, 반환하는 값(ans)이 dp의 사이즈와..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8알고리즘 유형자료 구조세그먼트 트리누적 합다차원 세그먼트 트리문제N×N개의 수가 N×N 크기의 표에 채워져 있다. 그런데 중간에 수의 변경이 빈번히 일어나고 그 중간에 어떤 부분의 합을 구하려 한다. 표의 i행 j열은 (i, j)로 나타낸다. (x1, y1)부터 (x2, y2)까지 합이란 x1 ≤ x ≤ x2, y1 ≤ y ≤ y2를 만족하는 모든 (x, y)에 있는 수의 합이다. 예를 들어, N = 4이고, 표가 아래와 같이 채워져 있는 경우를 살펴보자. 1234234534564567여기서 (2, 2)부터 (3, 4)까지 합을 구하면 3+4+5+4+5+6 = 27이 된다. (2, 3)을 7로 바꾸고 (2, 2)부터 (3, 4)까지 합을 ..
https://www.acmicpc.net/problem/1813문제 해석 및 접근"정확하게 0개의 말은 참이다""정확하게 1개의 말은 참이다""정확하게 2개의 말은 참이다"이런 3개의 문장이 칠판 위에 쓰여져 있고, 이 문장들 중 몇 개의 문장이 참인지 가려내야 한다.천천히 접근해서, '(칠판에 쓰여진) 0개의 말이 참이다' 라는 문장이 True라면, 이 문장을 포함한 칠판에 있는 모든 문장은 거짓이어야 한다. 여기에서 모순이 발생한다. 자신이 True인 것에서 참인 문장이 1개가 고정되는데, 문장 자신이 말하는 말은 거짓이 된다.즉 '0개의 말이 참이다' 라는 문장은 거짓말쟁이 문장이고, 모순이다. 즉, '0개의 말이 참이다' 라는 문장은 0개 존재해야 한다. 반면 '정확하게 2개의 말이 참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153 풀이방법: 알파벳 점수 매기기:소문자 'a'부터 'z'까지는 각각 1부터 26까지의 점수를 부여대문자 'A'부터 'Z'까지는 27부터 52까지의 점수를 부여.단어의 점수 합 구하기:주어진 단어의 각 문자에 대해 점수를 구하고, 그 점수의 합을 계산소수 판단:소수는 1과 자기 자신 외에는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수주어진 점수가 소수인지 확인. (여기서는 1도 소수로 간주한다)출력:만약 점수가 소수라면 "It is a prime word."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다면 "It is not a prime word."를 출력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1608 Algorithm일반적인 구현 문제, 다만 요구 사항이 조금 까다로울 수 있다.요구에 맞춰 자리를 배치 후, 만족도 총합을 구하여 하므로 크게 2파트로 나누어 생각해서 구현하였다. Codefrom collections import dequeinput = __import__('sys').stdin.readlineN = int(input().rstrip())N_list = [list(map(int, input().rstrip().split())) for i in range(N ** 2)]N_map = [[0] * N for i in range(N)]cntN_map = [[0] * N for i in range(N)]def find..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495문제여덟 자리의 양의 정수가 주어질 때, 그 안에서 연속하여 같은 숫자가 나오는 것이 없으면 1을 출력하고, 있으면 같은 숫자가 연속해서 나오는 구간 중 가장 긴 것의 길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예를 들어 세 개의 숫자 12345123, 17772345, 22233331이 주어졌다고 하자. 12345123은 연속하여 같은 숫자가 나오는 것이 없으므로 1을 출력하고, 17772345는 7이 세 개 연속하여 나오므로 3을 출력하며, 22233331의 경우에는 2가 세 개, 3이 네 개 연속해서 나오므로 그 중 큰 값인 4를 출력하여야 한다. 입력첫째 줄부터 셋째 줄까지 각 줄에 하나씩 세 개의 여덟 자리 양의 정수가 주어진다...
https://www.acmicpc.net/problem/30648알고리즘한 좌표에 두송이의 꽃이 피어있게 되는 시간을 구하는 문제이다.우리가 기억해야 할것은 다음 꽃이 필 자리에 꽃이 존재하는가현재 꽃이 핀 위치와 다음에 꽃이 필 위치를 기억해주고, 반복문을 통해 시간을 구해주는 방식으로 코드를 구성하였다.해당 좌표에 꽃이 있는지 확인할 배열, 다음 꽃이 필 위치 좌표 변수를 통해 해당 위치에 꽃이 존재했다면 반복문을 종료하고 시간을 출력해주었다.해당 위치에 꽃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다음 꽃이 필 좌표를 계산해주는데, x+y+2가 r보다 작으면 다음 꽃이 필 위치는 x+1, y+1이고x+y+2가 r보다 크면 다음 꽃이 필 위치는 x%2, y%2이고, 소수점은 버리므로 //로 정수형을 만들어준다.코드i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