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476
준규가 사는 나라는 우리가 사용하는 연도와 다른 방식을 이용한다. 준규가 사는 나라에서는 수 3개를 이용해서 연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수는 지구, 태양, 그리고 달을 나타낸다.
지구를 나타내는 수를 E, 태양을 나타내는 수를 S, 달을 나타내는 수를 M이라고 했을 때, 이 세 수는 서로 다른 범위를 가진다. (1 ≤ E ≤ 15, 1 ≤ S ≤ 28, 1 ≤ M ≤ 19)
우리가 알고있는 1년은 준규가 살고있는 나라에서는 1 1 1로 나타낼 수 있다. 1년이 지날 때마다, 세 수는 모두 1씩 증가한다. 만약, 어떤 수가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1이 된다.
예를 들어, 15년은 15 15 15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1년이 지나서 16년이 되면 16 16 16이 아니라 1 16 16이 된다. 이유는 1 ≤ E ≤ 15 라서 범위를 넘어가기 때문이다.
E, S, M이 주어졌고, 1년이 준규가 사는 나라에서 1 1 1일때, 준규가 사는 나라에서 E S M이 우리가 알고 있는 연도로 몇 년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세 수 E, S, M이 주어진다. 문제에 나와있는 범위를 지키는 입력만 주어진다.
문제
첫째 줄에 E S M으로 표시되는 가장 빠른 연도를 출력한다. 1 1 1은 항상 1이기 때문에, 정답이 음수가 나오는 경우는 없다.
Algorithm
가장 작은 E(15) 를 기준으로 나머지가 E 가 나오는 수를 작은 수 부터 찾아 28로 나눈 나머지와 19로 나눈 나머지가 각각 S, M 이 나오는 최솟값을 찾는다.
28 혹은 19보다 작은 수가 답일 경우일 때 28과 19의 값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S, M이 각각 28, 19인 경우 그 값을 0으로 둔다.
Cod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E, S, M = map(int,input().split())
if S == 28:
S = 0
if M == 19:
M = 0
i = 0
while True:
temp = 15 * i + E
i += 1
if (temp % 28 == S and temp % 19 == M):
print (temp)
break
'Koala - 19기 > 코딩테스트 심화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Python] 11047 : 동전 0 (0) | 2025.10.12 |
---|---|
[백준 / Python] 2230 : 수 고르기 (0) | 2025.10.05 |
[백준 / python] 7662 : 이중 우선순위 큐 (0) | 2025.09.21 |
[BOJ/C++] 2493번: 탑 (0) | 2025.08.17 |
[백준/python] 16953 A → B (0)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