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7795번: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acmicpc.net) 7795번: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www.acmicpc.net 문제설명 이 문제 풀이에 대해 시간 초과 오류 계속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바로 '이분 탐색' 이다. 생명체 A의 각 요소와 생명체 B의 각 요소를 비교해 A의 요소 값 > B의 요소 값을 구하는 과정을 가진다. 이를 위해 생명체 A와 B를 각각 리스트로 표현한다. A[i] 와 B[0] ~ B[i]의 크기 비교를 리스트 A의 크기..
문제 8979번: 올림픽 입력의 첫 줄은 국가의 수 N(1 ≤ N ≤ 1,000)과 등수를 알고 싶은 국가 K(1 ≤ K ≤ N)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된다. 이후 N개의 각 줄에는 차례대로 각 www.acmicpc.net Algorithm 2차원 리스트를 key 매개변수를 이용해 문제의 규칙에 따라 정렬한다. 정렬된 리스트 A에서 첫번째 열에 K가 저장되어 있는 행을 찾고 그 행의 위치를 i로 기억해둔다. 그리고 1등부터 N등까지의 등수를 의미하는 리스트 B를 만들고 A는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K 국가의 등수는 K의 A에서의 행의 위치가 B에서의 위치가 된다. A는 정렬되어 있으므로 모든 메달의 개수가 같은 국가를 찾기 위해서 인접한 행만 비교하면 된다..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8979 8979번: 올림픽 입력의 첫 줄은 국가의 수 N(1 ≤ N ≤ 1,000)과 등수를 알고 싶은 국가 K(1 ≤ K ≤ N)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된다. 이후 N개의 각 줄에는 차례대로 각 www.acmicpc.net [풀이] 입력을 받은 후 lambda를 사용해 금, 은 동 메달 순으로 정렬한다 정렬된 리스트를 기준으로 arr[i][0]이 찾아야하는 K와 같을 때 순서를 출력한다 [코드]
https://www.acmicpc.net/problem/7795 7795번: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www.acmicpc.net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FastReader scan = new FastReader();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int N, M; static int[] A, B; static voi..
https://www.acmicpc.net/problem/1018 1018번: 체스판 다시 칠하기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과 M은 8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보드의 각 행의 상태가 주어진다. B는 검은색이며, W는 흰색이다. www.acmicpc.net 끝까지 해결하지 못한문제... 항공대 겨울 코딩기초 캠프 들으며 질문으로 해결할 계획입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m,n,i,j,k,l; int cnt=0; cin>>m>>n; string arr[51][51]; for(i=0;iarr[i][j]; if(arr[i][j]=="\0") break; } ..
https://www.acmicpc.net/problem/7523 7523번: Gauß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Scenario #i:"를 출력한 다음, n부터 m까지 모든 정수의 합을 출력한다. 각 테스트 케이스 사이에는 빈 줄을 하나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분석 입력으로 작은 정수(a)와 큰 정수(b)가 들어오고, a이상 b이하의 모든 정수의 합을 구하면 된다. 문제풀이 가우스공식?을 쓴다 즉, 숫자가 총 짝수개 있을 경우: (처음수 + 마지막 수) * (숫자의 총개수 의 절반) 숫자가 총 홀수개 있을 경우: (처음수 + 마지막 수) * (숫자의 총개수-1 의 절반) + 가운데 수 하지만 저 공식은 수가 둘 다 0이상의 정수 일 때만 쓸 수 있는 공식이므로 a 와 b가 각각 양수 하..
https://www.acmicpc.net/problem/3190 3190번: 뱀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 www.acmicpc.net 문제 분석 정사각형 보드 위에서 뱀이 움직이는데, 자신의 몸에 닿거나 벽에 닿으면 끝나는 게임이다. 뱀은 사과를 먹을 때만 몸이 길어지고, 그 외에는 항상 동일하다. 사과를 먹으면 꼬리는 제자리에 남아있고, 머리만 한 칸 이동한다. 사과를 먹지 않으면 머리도 한 칸, 꼬리도 한 칸 이동한다. 주의할 점은, 꼬리는 머리가 이동했던 경로를 따라서 이동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뱀은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
https://www.acmicpc.net/problem/2178 2178번: 미로 탐색 첫째 줄에 두 정수 N, M(2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N×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 (1, 1)에서 출발하여 (N, M)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N, M)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칸을 셀 ..
https://www.acmicpc.net/problem/9935 9935번: 문자열 폭발 첫째 줄에 문자열이 주어진다. 문자열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폭발 문자열이 주어진다.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36보다 작거나 같다. 두 문자열은 모 www.acmicpc.net 문제 분석 난이도 골드4 분류 스택 들어가기 전에 대략적인 시간복잡도 계산을 할 수 있다면 어려울 것이 없는 문제. 문제 상근이는 문자열에 폭발 문자열을 심어 놓았다. 폭발 문자열이 폭발하면 그 문자는 문자열에서 사라지며, 남은 문자열은 합쳐지게 된다. 폭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문자열이 폭발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모든 폭발 문자열이 폭발하게 된다. 남은 문자..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드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answer = [] for i in range(1, 101): cnt = 0 for n, j in enumerate(speeds): progresses[n] = progresses[n] + j while progresses: if progresses[0] >= 100: progresses.pop(0) speeds.pop(0) cn..
https://www.acmicpc.net/problem/10798 10798번: 세로읽기 총 다섯줄의 입력이 주어진다. 각 줄에는 최소 1개, 최대 15개의 글자들이 빈칸 없이 연속으로 주어진다. 주어지는 글자는 영어 대문자 ‘A’부터 ‘Z’, 영어 소문자 ‘a’부터 ‘z’, 숫자 ‘0’ www.acmicpc.net 문제 코드 문제 풀이 이차원 리스트를 활용, x축을 기준으로 입력받은 문자를 y축을 기준으로 재배열 한 다음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