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 토네이도, 파이어스톰, 물복사버그 마법을 할 수 있다. 오늘 새로 배운 마법은 비바라기이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하늘에 비구름을 만들 수 있다. 오늘은 비바라기를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격자의 각 칸에는 바구니가 하나 있고, 바구니는 칸 전체를 차지한다. 바구니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r, c)는 격자의 r행 c열에 있는 바구니를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바구니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격자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마법사 상어는 연습을 위해 1번 행과 N번 행을 연결했고, 1번 열과 N번 열도 연결했다. 즉, N번 행의 아래에는 1번 행이, 1번 행의 위에는 N번 행이 있고, 1번 열의 왼쪽에는 N번 열이, N번 열의 오른쪽에는 1번 열이 있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N, 1), (N, 2), (N-1, 1), (N-1, 2)에 비구름이 생긴다. 구름은 칸 전체를 차지한다. 이제 구름에 이동을 M번 명령하려고 한다. i번째 이동 명령은 방향 di과 거리 si로 이루어져 있다. 방향은 총 8개의 방향이 있으며, 8개의 정수로 표현한다. 1부터 순서대로 ←, ↖, ↑, ↗, →, ↘, ↓, ↙ 이다. 이동을 명령하면 다음이 순서대로 진행된다.
- 모든 구름이 di 방향으로 si칸 이동한다.
- 각 구름에서 비가 내려 구름이 있는 칸의 바구니에 저장된 물의 양이 1 증가한다.
- 구름이 모두 사라진다.
- 2에서 물이 증가한 칸 (r, c)에 물복사버그 마법을 시전한다. 물복사버그 마법을 사용하면, 대각선 방향으로 거리가 1인 칸에 물이 있는 바구니의 수만큼 (r, c)에 있는 바구니의 물이 양이 증가한다.
- 이때는 이동과 다르게 경계를 넘어가는 칸은 대각선 방향으로 거리가 1인 칸이 아니다.
- 예를 들어, (N, 2)에서 인접한 대각선 칸은 (N-1, 1), (N-1, 3)이고, (N, N)에서 인접한 대각선 칸은 (N-1, N-1)뿐이다.
- 바구니에 저장된 물의 양이 2 이상인 모든 칸에 구름이 생기고, 물의 양이 2 줄어든다. 이때 구름이 생기는 칸은 3에서 구름이 사라진 칸이 아니어야 한다.
M번의 이동이 모두 끝난 후 바구니에 들어있는 물의 양의 합을 구해보자.
정답 코드
#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
# 복습 횟수:2, 02:00:00
import sys
si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si().split())
graph = []
move = []
dir = [(0, -1), (-1, -1), (-1, 0), (-1, 1), (0, 1), (1, 1), (1, 0), (1, -1)]
dir2 = [(-1, -1), (-1, 1), (1, -1), (1, 1)]
for i in range(N):
tmp = list(map(int, si().split()))
graph.append(tmp)
for i in range(M):
tmp = list(map(int ,si().split()))
move.append(tmp)
def changeLocation(tmp_list : list):
while tmp_list[0] >= N:
tmp_list[0] = tmp_list[0] - N
while tmp_list[1] >= N:
tmp_list[1] = tmp_list[1] - N
while tmp_list[0] < 0:
tmp_list[0] = tmp_list[0] + N
while tmp_list[1] < 0:
tmp_list[1] = tmp_list[1] + N
return tmp_list
def converter(cloud_list : list, turn, distance):
new_cloud_list = []
while cloud_list:
x, y = cloud_list.pop()
new_x, new_y = x + dir[turn][0] * distance, y + dir[turn][1] * distance
new_cloud = changeLocation([new_x, new_y])
new_cloud_list.append(new_cloud)
return new_cloud_list
# move 시작
cloud_list = [[N-1, 0], [N-1, 1], [N-2, 0], [N-2, 1]]
for i in range(M):
# 구름 이동시키기
visited = [[0 for i in range(N)] for i in range(N)]
turn, distance = move[i][0] -1, move[i][1]
cloud_list = converter(cloud_list, turn, distance)
# 물 뿌리기
for cloud in cloud_list:
x, y = cloud
graph[x][y] = graph[x][y] + 1
# 대각선 체크하기
for cloud in cloud_list:
x, y = cloud
navi = []
for i in range(4):
nx, ny = x + dir2[i][0], y + dir2[i][1]
if not (0 <= nx < N and 0 <= ny < N): continue
navi.append([nx, ny])
for nav in navi:
x2, y2 = nav
if graph[x2][y2] != 0:
graph[x][y] = graph[x][y] + 1
# 기존 구름 위치 체크
while cloud_list:
x, y = cloud_list.pop()
visited[x][y] = 1 # 방문처리
# 물 넣기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visited[i][j] == 1: continue # 구름이 기존에 있던 자리는 제외한다
if graph[i][j] < 2: continue # 물의 양이 2 이상인 칸에 구름이 생긴다
cloud_list.append([i, j])
graph[i][j] = graph[i][j] - 2 # 구름이 생성되면 물의 양이 2만큼 줄어든다.
answer = 0
for i in graph:
answer += sum(i)
print(answer)
풀이
1. 8개의 방향 및 대각선 방향을 체크하기 위해 dir, dir2를 구성한다.
2. 구름을 이동시키기
converter라는 메서드와 changeLocation()을 사용하여 위치를 변환한다.
행의 처음과 끝, 열의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있었다고 했으므로 아래와 같이 위치에 따른 코드를 작성한다.
3. 물을 뿌렸다면 대각선을 체크해야하므로 기존의 dir2를 활용하여 대각선을 체크해준다.
4. 기존 구름 위치에서는 구름이 생성되면 안되므로 visited[][]를 통해 방문처리를 해준다.
5. 구름을 생성하고 물을 -2 만큼 줄인다.
6. 이 과정을 M번 반복한다.
'Koala - 9기 > 코딩테스트 준비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Python] 2470번 두 용액 (0) | 2023.01.19 |
---|---|
[백준/C++] 1544번 소수의 연속합 (0) | 2023.01.18 |
[BOJ/Python] 14495 피보나치 비스무리한 수열 (0) | 2023.01.16 |
[BOJ/Python] 9251번 LCS (1) | 2023.01.15 |
[백준/node.js] 14501번 퇴사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