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2583
입력
첫째 줄에 M과 N,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M, N,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0,0)이고,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N,M)이다.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문제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m, n, k = map(int, input().split())
board = [[0] * n for _ in range(m)]
for _ in range(k):
x1, y1, x2, y2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y1, y2):
for j in range(x1, x2):
board[m-1-i][j] = 1
visited = [[0] * n for _ in range(m)]
dir = [(0, 1), (0, -1), (1, 0), (-1, 0)]
answer = []
def bfs(x, y):
q = deque([(x,y)])
res = 1
visited[x][y] = 1
while q:
x, y = q.popleft()
for i in range(4):
nx = x + dir[i][0]
ny = y + dir[i][1]
if 0 <= nx < m and 0 <= ny < n and board[nx][ny] == 0 and not visited[nx][ny]:
res += 1
visited[nx][ny] = 1
q.append((nx, ny))
answer.append(res)
for i in range(m):
for j in range(n):
if board[i][j] == 0 and visited[i][j] == 0:
bfs(i, j)
print(len(answer))
answer.sort()
print(*answer)
문제 풀이
1. 입력 받기 (문제에서는 0,0이 좌측 하단부터 시작인 점을 감안하여 배열 설정)
2. 너비 우선 탐색을 사용
2-1. 전체 보드판에서 비어있는 칸을 기점으로 bfs 실행 (전체 보드판 실행)
2-2. 비어있는 칸의 개수를 셈과 동시에 방문 여부도 체크, 최종적으로 큐가 비어있으면 그 루프의 최종 칸 크기를 answer리스트에 저장
3. 최종적으로 나온 answer의 길이와 정렬된 answer를 출력
'Koala - 17기 > 코딩테스트 심화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자바] 4485. 녹색 옷 입은 애가 젤다지? (0) | 2025.02.17 |
---|---|
[백준/Python] 2644번 : 촌수 계산 (0) | 2025.02.16 |
[백준/Python] 31575 도시와 비트코인 (0) | 2025.02.16 |
[PG/Python3] 아이템 줍기 (1) | 2025.02.12 |
[백준/Python] 16713번: Generic Queries (0) | 2025.02.09 |